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를 읽고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

나는 독서를 할 때 외국 작가의 작품은 가급적 원서로 읽는다. 영어공부를 겸하기 위해서이다. 보통 흥미나 재미 위주로 책을 고르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은 책은 아예 선택하질 않는다. 알려지지 않은 책은 흥미가 복불복이니 그냥 명작처럼 평이 좋은 책을 골라 몇 번이고 읽는 편이다.

파울로 코엘료(Paulo Coelho)의 연금술사(The Alchemist)는 서점에서 책을 고르다 원서가 있기에 구입한 책이다. 한글로 번역되어 나온 책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재미있는 책만 읽는 나쁜 습관 때문에 읽어보진 않았었다. 그런데 읽어보니 삶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준다고 해야 하나, 내용이 정말 좋았다.

연금술사는 산티아고라는 이름을 가진 소년이 자신의 ‘보물’을 찾기 위한 여행을 한다는 내용인데, 그 과정에서 산티아고가 겪는 사건이나 듣게 되는 말들 그리고 독백 등 하나하나가 끊임없이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어쩌면 내가 생각이 많은 건지도 모르겠다.

“It’s what you have always wanted to accomplish. Every-one, when they are young, knows what their Personal Legend is.”
“At that point in their lives, everything is clear and every-thing is possible. They are not afraid to dream, and to yearn for everything they would like to see happen to them in their lives. But, as time passes, a mysterious force begins to convince them that it will be impossible for them to realize their Personal Legend.”

산티아고가 Salem의 왕이라는 사람에게 듣게 되는 말이다. 우리는 모두 어릴 적에는 자유롭게 꿈을 꾸지만 어떤 미지의 힘에 의해 자신의 꿈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왜 자신의 꿈이 이루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일까? 현실과 타협하기 때문인 것일까?

아무래도 어릴 적 꿈은 현실을 도외시한 순수한 소망일 것이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온갖 어려움이 동반되는 이른바 ‘모험’이 뒤따를 것이다. 그리고 어른이 되고 나면 모험을 하기엔 너무 나이가 들었다고 생각하겠지. 그래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Personal Legend(나는 이것을 ‘꿈’이라고 해석했다)’를 외면하고 안정적인 삶을 추구하는 것이 아닐까?

“It’s a force that appears to be negative, but actually shows you how to realize your Personal Legend. It prepares your spirit and your will, because there is one great truth on this planet: whoever you are, or whatever it is that you do, when you really want something, it’s because that desire originated in the soul of the universe. It’s your mission on earth.”

우리와 문화적 표현방식이 달라 표현하기 힘들지만 나는 “어릴 적의 꿈을 이루는 것은 불가능해 보이지만, 그 불가능이 오히려 꿈을 이루도록 하는 힘의 원천이 된다. 그리고 열심히 노력한다면 보이지 않는 힘이 그 꿈을 이루도록 도와준다.”라고 이해했다. 왕의 이 말들은 연금술사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다.

맹인모상(盲人摸象)이라는 말이 있다. 맹인이 코끼리를 만져보고 자신이 만진 일부분으로 섣불리 전체를 판단한다는 뜻이다.

굳이 맹인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경험한 일부분으로 흡사 그것이 전체인 양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고 보면 꿈을 이룬 일부 특별한 사람들만이 코끼리 전체를 다 만져보고 코끼리의 모양을 알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Salem의 왕이 말한 노력이 코끼리의 전체를 만져보는 노력과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역시 꿈을 이루는 열쇠는 노력인 것이다.

이 부분과 함께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서로 다른 방식에도 흥미가 있었다. 빵집 주인과 크리스털 상점의 주인 그리고 산티아고. 이 세 사람들이 선택한 삶의 방식에 대해서다.

빵집 주인은 여행 가는 것을 좋아하지만 우선 돈부터 모으자고 생각했다. 그리고 좀 더 나이가 들면 아프리카에 여행을 가자고 생각했다. 양치기가 되었다면 얼마든지 자유롭게 여행을 다닐 수 있었겠지만 아무래도 양치기보다는 빵집 주인이 좀 더 사람들에게 필요로 하고, 양치기는 노숙하는 반면 빵집 주인은 집에서 편히 잘 수 있으며, 결혼을 할 때도 부모 된 입장에서는 양치기 보다 빵집 주인이 낫다는 굉장히 현실적인 이유에서 행복을 찾은 예이다.

사실 책에서는 빵집 주인이 행복한지, 행복하지 않은지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나는 그가 여행을 가지 않았던 것에 미련은 있을지언정 최소한 그의 삶이 불행하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빵집 주인의 삶이 일반적으로 우리가 어른이 되는 과정이 아닐까. 어릴 적에는 내가 어른이 되면 꼭 꿈을 이루어야지 하다가도 어른이 되면서 현실에 안주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그런 어른들의 삶을 ‘실패했다’거나 ‘어리석다’라고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

꿈을 이루려 무조건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옳고’ 빵집 주인은 ‘틀리다’라고 말하는 것은 흑백논리와 다름없고 그런 것은 맞지 않는 것 같다. 그렇지만 빵집 주인처럼 산다면 삶에 있어 어딘가 허전하지는 않을까 하고 생각은 든다.

크리스털 상점 주인은 꿈을 이루고 나면 자신의 삶의 목적이 사라지게 될 것이 두려워 꿈을 이루지 않는다. 자신의 모든 생활들의 원천이 되는 힘은 바로 메카를 향한 성지 순례라는 꿈 덕분인데 만약 이루고 나면 자신은 그 힘을 잃어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저 자신의 꿈을 꿈으로만 남겨두고 계속해서 상상하며 힘을 얻고 싶어 하는 스타일이다.

“But I’m afraid that it would be all be a disappointment, so I prefer just to dream about it. (나는 꿈을 이루고 난 뒤의 상실감이 두려워 계속 꿈만 꾸는 것을 선호하지.)”

전체적인 맥락상으로 이 문장에서의 <disappointment>는 자신의 목표를 이룬 후의 실망 혹은 상실이지만, 나는 다른 형태의 ‘실망’을 떠올려 보았다. 상상해왔던 메카와 현실의 메카가 다름에서 오는 실망 말이다. 그런 생각을 하니 앙드레 지드의 전원 교향악(La Symphonie pastorale)이 생각났다.

한 목사가 눈먼 고아 소녀를 데려다 키우는데 처음에는 단순한 보호자로서의 사랑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 소녀를 사랑하게 된다.

소녀는 목사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세상과 인생은 아름다운 것이라 생각하게 되지만 그녀가 수술로 눈을 뜨게 되었을 때 소녀가 마주한 것은 자신으로 인해 생긴 목사 부부의 분란, 목사와 아들 사이의 갈등이었다.

게다가 소녀는 자신이 사랑한다고 믿어왔던 사람이 사실 목사가 아니라 아들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괴로워하다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게 된다.

전원 교향악에서 소녀가 죽음을 선택한 이유는 자신이 상상해오던 아름다운 세상과 눈으로 마주한 현실이 너무나도 달랐기 때문이다. 눈이 멀었을 당시에는 어떠한 죄악감도 없이 순수하게 세상을 아름답게 상상할 수 있었고 사랑을 할 수 있었지만, 눈을 뜨고 마주한 현실은 소녀에게 죄책감을 심어주었고 괴로운 세상을 보여주었다.

상상하고 꿈꿔왔던 것이 사실은 별것 아닌 것이라면, 그로 인해 생겨나는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으리라. 그래서 내용과 다르게 크리스털 상점 주인의 말 중 <disappointment>를 재해석해보았다.

어쨌든 크리스털 상점 주인은 도전하며 사는 것이 무서운 사람들에게는 괜찮은 삶의 방식이다. 꿈을 꾸면서 살아가는 것, 적어도 삶에 의지는 주는 행동이다. 실제로 이루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지만, 충분히 두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새로운 삶의 목적이 생길 수도 있을 텐데 너무 하나의 꿈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마지막으로 산티아고는 책의 첫 장에서부터 안정적인 직업인 신부로서의 삶보다 힘든 양치기라는 직업을 선택했고, 온갖 우여곡절을 다 겪지만 어쨌든 보물을 찾기 위한 여행을 계속한다.

어떤 사람은 산티아고가 비현실적인 꿈을 꾼다며 비난할 수 있겠지만, 산티아고는 자신의 삶에 후회는 없을 것이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살아가는 방식을 스스로 선택한 것이므로. 산티아고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보물을 향해 나아가는 삶을 선택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현실에 안주하며 자신의 꿈을 포기한 사람, 삶의 목적이 없어질까 꿈을 이루지 않고 계속 꿈만 꾸는 사람,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행동으로 나선 사람, 대표적으로 이렇게 세 사람을 꼽아봤다.

어쩌면 파울로 코엘료는 산티아고처럼 꿈을 향해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빵집 주인이나 크리스털 상점 주인처럼 사는 것이 꼭 잘못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힘든 상황마다 산티아고에게 도움을 주는 누군가가 나타난 것처럼 실제 우리의 인생에서도 그렇게 된다고 장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산티아고처럼 살 수 있다면 좋겠지만 만약 꿈을 이루기 위해 달려가다 처참하게 실패한다면 그런 꿈을 꾼 것 자체를 후회할 수도 있지 않을까.

나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파울로 코엘료가 산티아고를 통해 메시지를 전하는 것 같다.

“언제든지 돌아갈 곳은 있으니 도전해보라”라고.

내가 사람의 영혼을 격동시키는 꿈의 명확한 범위를 모르고, 낙관주의자가 아니어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산티아고처럼 사는 것을 현실에 접목시키는 것은 위험한 구석이 많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신의 꿈을 위해 여행을 계속하는 것은 분명 적극적이면서 대단한 삶의 방식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모든 사람이 같은 방식으로 꿈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빵집 주인처럼 현실에 안주할 수도, 크리스털 상점 주인처럼 꿈만 꾸면서 살아갈 수도, 산티아고처럼 진취적으로 삶을 개척해 나갈 수도 있다.

꿈을 유년시절의 흘러간 추억으로 보는지, 그저 삶의 원동력으로만 보는지, 반드시 이루어야 할 목표로 보는지, 사람마다 꿈을 바라보는 방식은 다르고, 그에 따른 행동 역시 다른 법이다.

산티아고처럼 살지 못한다고 해서 스스로에게 실망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분명 산티아고처럼 사는 것이 진취적인 삶의 방식인 것은 맞지만 반드시 그처럼 행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되새겨 보고 계획을 세워 성찰하는 것만으로 ‘꿈’에 대한 예의는 충분하다.

사람마다 꿈을 바라보는 방식은 다르다. 이것이 내가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를 읽고 느낀 것이다.

B
Copyright 덕구일보 All rights reserved.
덕구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출처를 밝히고 링크하는 조건으로 기사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 및 각색 후 (재)배포는 금합니다. 아래 공유버튼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