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언저리 천설(天雪)에서 먹었던 국수

국수
어릴 때 밥처럼 먹었던 국수를 천설에서 먹었다.

내가 먹어본 최초의 요리는 국수이다. 수제비하고 살짝 헷갈리기는 하지만 아마 국수가 조금 더 빠르지 않나 싶다. 왜냐하면 국수는 별미로 먹었던 요리가 아니라 하루걸러 한번은 먹었던 주식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어릴 때 하숙집 주인이었던 어머니는 이틀에 한 번꼴로 국수를 삶으셨다. 난 당연히 하숙생들과 함께 국수를 먹으며 자랐다. 그러다 라면이란 것이 나오고부터 난 국수를 멀리했다. 맛도 맛이지만 면발이 국수는 키만 삐죽 한 것이 도대체가 밍밍하기만 한데, 라면은 꼬불꼬불한 것이 젓가락에도 잘 걸리고 여간 재미있게 생기지 않다.

어릴 때 워낙 국수를 많이 먹어서인지 어지간해서는 국수를 입에 대지 않았다. 완전 어른이 되어서야 어릴 때 기억을 떠올리며 잔치국수니 양푼이 국수니 하는 밖에서 파는 국수를 먹어보기도 했지만 어릴 때 먹었던 그 국수 맛이 아니었고, 나는 추억나무의 가지하나가 꺾인 듯 상실감을 느껴야 했다.

경부고속도로의 한쪽 끄트머리인 부산 구서IC를 빠져나오면 부산 남포동에서 강원도 고성까지 이어지는 7번 국도를 만난다. 통일이 되면 함경북도 온성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왼쪽으로 가면 부산 중심부를 관통하여 남포동으로, 오른쪽으로 가면 울산, 경주, 포항을 거쳐 강릉, 속초, 고성으로, 곧장 가면 부산대학교로 갈 수 있다.

내비양이 나의 목적지에 가려면 오른쪽으로 우회전해야한다고 알려준다. 내비는 내가 범어사에 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내가 찾아가는 곳은 범어사가 아니라 금정산자락 그러니까 범어사 일방도로 끝자락에 있는 모처이다. 이 곳은 내비에도 나오지 않으므로 인근에서 가장 유명한 범어사로 좌표설정을 한 것일 뿐이다.

내비양의 도움으로 범어사로 가는 일방도로를 탔다면 그대로 쭉 달려 오르막길을 올랐다가 내리막이 시작하는 곳부터 긴장해서 주변을 살펴야한다. 두세 번 굽이쳐 내려오면 도로가 약간 넓어지는데 정면에 ‘모과나무집’이라는 간판이 보인다면 제대로 찾아왔다. 그곳에서 예각으로 좌회전을 하여 조금 올라오면 나의 목적지가 있다. 이번엔 10여 년 만이다.

국수 전문점 범어사 천설
10년 만에 찾아온 천설은 변한 것이 전혀 없다.

천설(天雪), 금정산 등산로에 자리하고 있는 ‘하늘의 눈’이라는 서정적인 이름을 가진 공간. 국수 한그릇 때문에 찾아온 길이다. 다 쓰러져가던 모습의 천설은 10년이 지나 다시 와서 보니 고맙게도 쓰러지지 않고 여전히 잘 있다.

천설 내부
시간이 멈춰버린 천설.
천설 메뉴판
낡은 메뉴판만이 오랜 세월이 흘렀음을 알려주고 있다.

세월은 용하게 이곳을 비껴갔다. 모든 것이 급박하게 변하는 세상에서 시간이 멈추어버린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은 참 감사한 일이다. 더군다나 천설에는 국수가 있다.

나는 미식가가 아닌 데다가 입마저 짧은 편이라 음식 맛을 평가하는 능력은 다른 재능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래서 이곳의 국수가 주문진 국수처럼 유명하게 맛있다는 말은 못하겠다. 그저 어릴 때 먹었던 국수 맛과 흡사해서 나는 좋다.

모처럼 찾은 천설이라 국수만 먹기 섭섭해서 파전도 구워달라고 해서 같이 먹었다. 파전도 어릴 때 먹던 맛과 다르지 않다 커다란 그릇에 가득 나오는 국수와 큼지막한 파전을 하나 먹었더니 잠이 절로 왔다.

잔잔한 음악을 틀어두고 창가에 머리를 누이고 잠시 잠을 청했다. 오전 내내 비가 내려 풀잎들은 촉촉한데 잠시라도 편히 쉬라고 나뭇잎 사이로 햇살이 비쳤다. 고향에 온 듯한 푸근함.

먼 곳에 있어도 멀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아련한 어릴 때의 기억이 나의 마음 한켠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리라. 나는 어제 천설에서 국수를 먹었다.

한덕구
Copyright 덕구일보 All rights reserved.
덕구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출처를 밝히고 링크하는 조건으로 기사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 및 각색 후 (재)배포는 금합니다. 아래 공유버튼을 이용하세요.